안녕하십니까? 항상 눈팅만 하다가 홈네트워크 구성과 관련하여 도움요청드립니다.
우선 홈네트워크를 재구성하는 사유는 고등학교를 진학하는 아이가 있는데,
중학교는 기숙사 학교를 다녀서 특별히 컴퓨터 사용시간을 제약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졸업을 하고 집에 있는데 컴퓨터를 너무 사용하는것입니다.
물론 학원을 가기때문에 그렇게 많이 할 수는 없지만, 문제는 자는 시간에 몰래 일어나서 새벽에 컴을 한다는것입니다.
와이프나 제가 자다 깨서 화장실 혹은 물마시러 일어나서 나가보면 게임을 하고있어서 아이의 다음날 생활에도 문제가
있을뿐더러, 아이와 와이프의 관계까지 나빠질 수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아이방 포트에서 TP-link 데코를 연결후 아이 컴을 연결했습니다.
(TP링크 제품이, 자녀보호모드에서, 특정시간동안 사용하지 못하게, 하루 총사용시간 제어하기 등등이 되는데 그것이 핸드폰앱으로
간편하게 되어서 사용을 합니다.)
이렇게 해서 아이방 컴은 제어를 완료했는데, 문제는 아이가 컴퓨터방에 있는 제컴을 쓰다가 또 문제가 되었습니다. ㅠㅠ
그래서 제꺼 컴도 아이것과 같이 제어하려고 하다보니 홈네트워크 재구성을 하게되었습니다.
제가 정확히 필요한 내용은 위와 같은 사유로
1) 내컴과 아이컴 모두 TP링크 공유기의 어플로 제어가 가능 할 것. (필수)
2) 내컴과 아이컴이 공유가 되어 내컴에 연결된 프린터를 아이컴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것 (옵션)
3) 내컴과 아이컴과의 파일이 공유되어 USB나 웹하드 및 이메일을 이용하지 않고 파일을 옮길 수 있을것(옵션)
상기 3가지입니다.
1. 먼저 저희 집의 네트워크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2. 저희집 단자함의 허브입니다.
3. 제가 수정하고자 하는 홈네트워크 구성입니다.
(※ 여기서 1번 케이블이 없어도 인터넷 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 같아서, 없애보니 인터넷은 되더군요. 혹시 1번 케이블이 꼭있어야 할까요?)
이렇게 구성하면 제가 위에서 원한 1), 2), 3)모두 만족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혹시 이것 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참고로 단자함이 너무 작아서 단자함에 추가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은 5포트 정도 되는 공유기 또는 스위칭 허브 1개 정도 들어갈 수 있을 듯 합니다.
추가로 궁금한점은, U+ 기가게이트웨이의 역할은 무었인가요?
기가게이트웨이를 통상의 스위칭허브로 바꿨을때 문제가 있을까요? 아울러 스위칭허브로 바꿨을때 이점이 있을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