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780 페이지
  • 레****님의 글

인터넷 구성 문의드립니다.

회원님의 사진
  • 레****
댓글 1
  • 조회 1,858

궁금한게 있어서 검색중 실례를 무릎쓰고 문의드립니다.


시험장을 운영하려고 인터넷을 신청하여 개통을 하였습니다.


엘지유플러스 기가오피스 3회선(유동) 으로 개통하였고

광케이블이 있는 박스로부터 모뎀(ubiquoss E5708C)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엘지에선 여기까지 해주신거고 내부는 우리가 해야 한다고 하시더군요. ^^


그래서 3개의 고사장에 각각 선을 연결하기 위해 

회선이 들어온 고사장에 기설치되어있는 공유기 GAPM7100 에 모뎀과 연결했습니다.


그리고 공유기에서 나온 선 하나를 고사장1의 IPtime SG2400M에 연결했구요. 

그리고 공유기에서 선을 두개 더 인출해서 나머지 2개의 고사장에 같은 방법으로 연결할 생각입니다.


질문1.

이럴 경우 사설IP를 이용하여 각 고사장을 공유하려고 하는데,

사설 ip를 다르게 부여하면 내부공유와 인터넷이 문제없을까요?

(예:1고사장 192.168.219.131~160, 2고사장 192.168.219.161~190 ...)


질문2.

모뎀과 직접연결되어있는 공유기 GAPM7100 를 그냥 써도 문제없을까요?

공유기에서 DHCP 설정은 꺼도 되는지요.


질문3.

이 경우 속도는 100메가에 트래픽이 1기가란 얘기인가요?


질문4.

결국 3회선이 들어왔다고 했는데 이럴 경우 1회선만 이용하는 경우가 되는건지요.


질문5.

3개의 회선(유동), 3개의 고사장을 서로 공유하려고 한다면 어느방법이 제일 좋을까요?


ps. 이 좋은 사이트를 너무 늦게 찾게 되어 속상하네요... 

전체 댓글 1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상희
    안녕하세요 레이님 백메가 이상희라고 합니다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ㅡ^

    남겨주신 내용을 쭉 읽어보니
    기업용 인터넷 상품에서 모든 단말기를 하나의 내부 네트워크(이하 서브넷)으로
    귀속하기 위한 의도로 해석됩니다. 제가 짐작한 게 맞겠지요?!

    한편 저희 백메가를 좋게 봐주셔서 정말 기쁘고 각별한 마음이에요.
    참고로 저희는 네트워크 컨설팅 업체가 아닌 인터넷 가입 영업점이니
    추후 인터넷 가입시에도 백메가를 잊지 않고 이용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헤헤😁


    일단 기본적인 네트워크 모식도는 :
    트렁크 장비(L2 스위치) → 홈라우터(공유기) → 3개 고사장에 설치된 스위치 허브 순이겠군요.
    질문에 하나씩 답해드리겠습니다.

    질문1에 대한 답)
    모든 단말기가 하나의 서브넷으로 귀속되려면,
    개별 단말기들은 상호간 충돌없이 고유한 사설IP가 할당되어야만 합니다.
    하여 말씀해주신 것이 맞아요~!

    질문2에 대한 답)
    홈 라우터의 DHCP 서버를 중지한다면 서브넷을 구성하는 모체(母體)가 없는 셈입니다^^;
    홈 라우터의 DHCP 서버가 가동되어 NAT 모드로 동작해야만 해요.
    즉, 모든 단말기의 모체(母體)는 홈라우터인 GAPM7100가 되어야 하는 거죠.

    (물론 GAPM7100 정도 보급형 장비 하나로
    수십대의 개별 단말기 통신 협상을 원활히 취할 수 있느냐는 별개의 문제겠지만요;;)

    질문3에 대한 답)
    말씀해주신 내용이 어떤 의미인지 불투명합니다.
    기가오피스넷은 청약 회선당 1Gbps 급 대역폭을 제공하는 상품이니,
    바이트(Byte)로 환산한다면 최대 125MB/s 를 수용하는 셈이에요
    즉, 1Gb/s = 125MB/s 인 거죠.

    질문4에 대한 답)
    트렁크에 내장된 L2스위치 장비의 개별 포트는 "각각 독립된 회선"이며
    각각의 공인IP를 할당하기 마련입니다.

    한편 서브넷은 단일 WAN을 복수의 LAN에게 사설 IP를 할당하는 개념이지 않겠습니까?
    즉, 복수의 독립 회선(공인IP)을 -> 하나의 서브넷(사설IP)로 엮는 행위는 '기본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다만, 홈 라우터 등의 장비가 link Aggregation 등의 논리적 포트병합 기능을 제공한다면 말씀해주신 일도 가능한데요~
    링크 어그리게이션도 2개 포트의 병합이 한계이며, 3개 포트 병합을 제공하는 장비를 본 적이 없습니다;;


    질문5에 대한 답)
    상당히 포괄적인 질문인데요~
    위 4가지 답변을 토대로 자원과 기회비용을 고려해보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정도 규모의 서브넷 구성은 최초 구성뿐 아니라 유지보수에 대한 능력을 필요로 하는데,
    레이님께서도 이에 관해 잘 알고 계셔야 이후 유지보수도 능히 하실 수 있을테니 말이지요!
    모쪼록 제가 드린 단서들이 레이님께 조금이나마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ㅁ^)//
  • 문의게시판
  • 780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