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이사를 가게 되어, 인터넷을 새로 개통 예정을 앞두고 있는 예비 이사남입니다.
현재 저를 포함한 가족 모두가 통신사/인터넷 모두 KT 쪽을 사용하고 있는 상태이며
본가에는 3회선 KT 모바일 + KT 기가라이트(프로모션 무료) + 올래TV기본 + 인터넷 전화 사용
2년전 분가하여 나온 집은 KT 광랜이 기본 포함되어 별 문제 없이 이용하고 있다가
새로 이사가는 곳에서 다시 사용하려고 KT쪽 저렴한 제품군으로 알아보던중
우연치 않게 이곳 백메가를 알게되어 여러 정보를 습득하며 이렇게 질문 남겨보게 되네요.
일단 어느정도 인터넷이나 통신망 등에 관심이 있고 아는 부분이 있어서
조금 구체적인 상황을 적어가며 이를 기준으로 여쭈어보고자 합니다.
하기 조건을 따졌을 때, 과연 KT 패밀리 인터넷과 LG 인터넷 약정 중 어떤 것이 제게 더 잘 맞을까요?
(혹은 위 2가지 이외에 더 좋은 조건이 있다면 그것에 관해 안내해주셔도 okay 일듯 합니다)
- 가입 조건
순수 인터넷만입니다. 전화, TV, 인터넷 전화 모두 거의 안써서 필요 없습니다.
- 거주지 조건
현재 이사지는 강동구 천호동 부근의 5층 이하 일반 주택이며 2년 계약 (그 이상 거주 가능수 있을지는 아직 모름, 이에따라 저렴한 경우 3년 약정으로 하더라도 중간에 다른 분에게 그대로 양도 가능한지 등이 아무래도 따져볼 조건이겠네요) 예정입니다. 비대칭/대칭 중 어떤 업체에서 어떤게 지원되는지 여부는 빠른 시일내에 확인 해볼 예정입니다.
- 금액 조건
저렴 (또는 그에 합당한 페이백 등의 보상) 최우선 일단 1~2만원 선 내외로 보고 있습니다. 3사 기준으로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힘들겠지만 일단 KT는 패밀리 할인 조건이 가능해서 우선 염두해두고 있었습니다.
- 서비스 처리 조건
업무상 인터넷을 주로 사용하다보니, 인터넷 고장이나 늦은 핑등이 발생하면 바로 서비스 센터에 전화하고 이에 따라 바로 바로 처리가 되어야합니다. 실제 이전 거주지에 있으면서 2차례 정도 인터넷 사용이 안되서 문의 및 바로 처리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딜라이브 등의 소형 업체는 이런 대응 부분이 우려스럽네요.
- 인터넷 조건
게임은 거의 하지 않으며, 대부분 온라인 업무 목적으로 이용하며 각종 해외 사이트 접속 및 웹서핑을 자주 이용합니다 (검색 절반 가까이 이상을 해외 쪽으로 이용한다 보시면 됩니다) 유튜브도 꽤나 많이 시청하는 편입니다.
- 광랜 속도/광랜급 조건
일부 기기 유선 한정 기가급 사용은 가능하나, 대부분 사용하는 기기와 공유기가 100mb급으로 한정되어있어 100mb 급으로 우선 염두하고 있습니다. 물론 기가 라이트급이라도 (KT패밀리기준 22,000) 저렴한 가격이면 나쁘진 않긴 합니다. 다만 기가급을 하게 되면 아무래도 공유기부터 갈아치워야 해서 조금 신경은 쓰이네요. (헤비 유저가 아니다보니 지금 기가 쓸만큼인가? 라는 의문...)
- 대칭/비대칭, 핑, 해외 접속 유무
클라우드 및 p2p도 자주 이용하기에 무조건 대칭형 기준으로 보고 있습니다. 핑 지연이 낮으면 낮을 수록 좋습니다. 또한 해외 접속에는 지장이 없었으면 좋겠군요.
매우 까다로운 조건으로 간주될 수도 있겠지만 기존에 쓰던 부분(KT)에서는 대부분 만족한 부분이기에
상기 내역 기준으로 어느정도 감안하여 고려한다면 합리적인 부분은 아마 두개쯤 될 것 같아보입니다.
1. KT 패밀리 인터넷 2년 약정 (기본 16,500원 + 모뎀 대여료 2,200원) + 낮은 캐시백
2. LG인터넷 3년 약정 (20,600원) + 가입비 22,000원 + 높은 캐시백 + 2년 이후 재 이사하게 될 경우 타인에게 양도 조건 가능 여부도 고려 대상
이외에도 보면 CJ헬로비전이나 딜라이브(C&M) 같은 저가 상품들도 꽤나 관심은 가긴 하나
비대칭 및 특정 시간대의 병목현상 및 심한 지연 반응 속도 등이 우려되어(특히 CJ쪽) 일단 제외하였습니다.
딜라이브(C&M)은 한 10년전 5mbps 급 케이블 쓴 이후 KT로 갈아타버려서, 지금은 잘 모르겠네요
일단 보자면 결론은 두가지중 하나인데
- 2년 약정으로 대여료를 내가며 적은 캐시백으로 부담 없이 해외 지원 빵빵한 KT를 쓰느냐
- 중도 위약금 발생 가능성 및 양도등을 고려해야 하는 불편함은 있지만, 3년 약정으로 캐시백에 여러가지 빠방한 지원 받는 LG를 쓰느냐 (다만, 해외쪽은 LG꺼 써도 문제가 없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정도로 보이네요.
과연 무엇이 더 효과적일지는 조금 더 따져봐야할 것 같은데
백메가 전문가분들의 거침없으신 제안을 부탁드려보고 싶습니다.
(혹시 위 2가지 이외에 더 나은 대안이 있으시면 그것도 좋으니 안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