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원룸에 새로 이사와 거주하고 있습니다. 인터넷과 TV 모두 관리비에 포함되지 않아 따로 신청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제 경우 인터넷은 100mb(광랜)수준이면 충분하고 TV도 iptv같이 셋톱박스가 있어야 하는 서비스는 필요 없으며 저렴한 케이블 상품을 통한 삼사십 개 채널만으로 족합니다. 형편상 인터넷과 TV 요금을 합쳐 달에 3만 원 이내로 만들고 싶어 그나마 저렴한 지역 케이블사인 딜라이브 상품과 결합상품을 며칠 눈여겨 봤습니다. TV상품(딜라이브 케이블 보급형 플러스, 월 8,800원, 동서울)은 마음에 들었습니다. 그런데 딜라이브 인터넷이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가 현저히 차이나는 비대칭형이기도 하고 워낙 사용후기가 좋지 않아 고민이 됐습니다. 딱히 온라인 게임을 하는 등 인터넷 헤비 유저는 아니지만 여러 예능방송이나 다큐, 영화 등을 종종 다운받아 보기를 좋아해 다운로드 속도가 10mb정도는 나왔으면 하는데 말이죠. 문제는 어떤 회사든 인터넷과 TV상품 거의 대부분이 3년 약정에 유리하게 만들어졌다는 겁니다. 원룸살이하는 사회 초년생 특성상 중도해지 없이 3년 동안 해당 상품 가입을 유지하기는 어렵습니다. 1년 약정을 하자니 양 싸대기가 모두 얼얼해지는 듯한 가격이고요. 특히 메인 3사 1년약정 금액은 충격적이었습니다. 그러다 KT 인터넷 패밀리요금이란 걸 봤습니다. 부모님 계시는 본가에서는 TV와 인터넷, 모바일을 모두 KT로 사용하고 있으며 신)인터넷뭉치면올레 상품으로 네 가족 모바일 회선까지 결합해둔 상태입니다. 이거다 싶어서 찾아보니 패밀리요금을 사용하면 저렴하게 인터넷 회선을 하나 더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이 역시 기본 3년 약정이네요. 백메가를 뒤져보니 본사에 다이렉트로 요청하면 1년약정도 가능은 하다지만, 그렇게 한다면 패밀리요금을 신청하는 메리트 없이 요금이 또 확 뛰어버리는 건 아닐지 걱정됩니다. 이곳 글 중 단기약정보다 3년약정이 거의 대부분의 경우 유리하다는 취지로 쓰인 게시물을 보고, 그럼 3년 약정을 걸었다가 1년만 하고 위약금을 물까 싶다가도 어느 정도가 나올 지 몰라 겁부터 납니다. 지금 살기 시작한 곳이 20년 정도 된 3층짜리 구축 건물 원룸이라 방에 랜선 포트도 없는 것 또한 신경이 쓰이네요. TV든 인터넷이든 과연 원활하게 설치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이죠. 이전 세입자가 인터넷은 사용하지 않고 딜라이브 케이블 TV만 썼다는데, 창문 틈새로 케이블을 연결한 흔적은 있습니다. 아직도 창문을 통해 방 안에 케이블이 들어와 있죠(케이블 때문에 창이 닫히지 못한 공간은 비닐과 테이프로 봉해져 있습니다). 적고보니 여러모로 훌륭한 상황은 아니네요.
제가 원하는 사항을 요약합니다.
1. TV와 인터넷 합쳐 월 3만 원 내외로 퉁치고 싶다
2.인터넷은 광랜이면 충분하지만 최고 다운속도가 10mb 가까이 안정적으로 나왔으면 한다. TV는 저렴한 케이블 상품으로 족한다
위 사항을 종합해 질문 드립니다.
1. 제가 나열한 조건에 부합하는 상품 조합을 찾으려면 동 회사 결합상품보다 각각 다른 회사 상품으로 가입하는 게 유리할까요? 제게 맞는 상품이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저의 경우에는 3년 약정을 한다 해도 90%확률로 중도해지를 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이곳 계약이 끝나 다른 곳으로 이사가는 경우에는 약정 이전을 하면 된다 하겠지만 요새 원룸 대부분이 인터넷이나 TV를 기본 옵션으로 두기 때문에 이전이 곤란해 결국 위약금을 물어야 할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이 경우에 위면해지가 가능하다고 보는 입장도 있지만 많은 경우 사측에서 배째라는 식으로 나온다는군요).
백메가 측에서 올린 게시물 중 단기약정보다 3년약정이 무조건 유리하다는 주장이 담긴 글을 앞서 언급했습니다. 제가 KT 올레 인터넷 상품에 가입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1년 약정시 36,300원이고 3년 약정시 22,000원으로 연간 17만 원 가량 차이가 납니다. 3년 약정 중 만 1년만 약정 유지하다 해지했을 때 물어야 할 위약금은 1년 약정 대신 3년 약정을 듦으로 이득을 본 17만 원 + 모뎀임대료 뿐인가요? 그렇다면 이는 3년 약정 당시 받을 현금사은품으로 커버 가능한 수준이니 1년 약정보다 3년 약정 해지 후 위약금을 무는 게 더 합리적인가요?
3. KT인터넷 패밀리요금으로 회선 하나를 더 추가했을 때 3년 약정 대신 1년 약정을 선택하면 할인이 얼마나 들어가는지 궁금합니다. 또, 현재 본가에서는 기가인터넷을 사용중인데 저도 기가인터넷을 쓸 수 있게 되나요?
4.패밀리요금으로 회선을 추가(주소지 상이)했을 경우 요금은 모회선을 가진 부모님 명의로 나가게 되나요? 그렇다고 한다면 자회선 요금분에 대해 제가 별도로 요금을 납부할 수는 없는건가요?
상황설명과 질문이 길었습니다. 가난하고 가엾은 영혼을 구제해 주세요. 참고하시라고 주소 남겨드리니 확인해보시고 블라인드 처리 부탁드립니다.
서울 광진구 **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