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고객님 😊
백메가 김사라입니다
이렇게 백메가 믿고 문의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LG 인터넷 망의 대칭형 여부를 문의주셨군요~!
지금 전산으로 조회를 바로 해보았고요~
다행히 대칭형으로 튼튼하게 들어가고 있습니다~! 😁
정확히는 대칭형 FTTB망으로 들어가고 있으며,
최대 5기가 인터넷까지 가용됩니다!
(100메가 500메가 1기가 2.5기가 5기가)
✅ FTTH망이란? (FIBER TO THE HOME)
광섬유랜선이 바로 자택까지 인입하는 초고속 망을 말합니다!
따라서 속도 유실이 거의 없고 짱짱한 품질로 사용하실 수 있지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망 중에 가장 품질이 좋답니다! 💪
✅ FTTB망이란? (FIBER TO THE BUILDING)
광섬유랜선이 건물의 MDF실까지 인입되고,
여기서부터 각 세대 (집) 까지는 UTP랜선으로 이어지는 망입니다!
FTTH에 비해서 살짝 아쉽긴 하더라도 이 또한 튼튼한 대칭형입니다
따라서 품질은 염려마시길 바랍니다!!
혹시 신규가입을 고려 중이신가요~?
아니면 LG 인터넷을 이용하시는 와중에 품질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 걸까요?
상황을 말씀해주시면 제가 이어서 도와드리겠습니다 🤗💪
뽕****
스팀게임을 주로 하는데 해외망이 걱정 되서요
혹여나 끊김이 생길까봐요
운영진 김사라
@뽕****아하! 해외사이트나 서버를 자주 이용하시는 편인가요~!?
국내 인터넷 망만 사용하신다면 대칭 / 비대칭만 고려하시면 되겠습니다만,
해외로 나가는 인터넷 망은 또 해외망 품질을 고려해야 합니다
통신사마다 품질이 크게 상이하지요
이를 위해서는 무조건 KT를 유지하셔야 해요
국내로 들어오는 해외망 품질은 KT가 유일하게 좋은 편입니다
이는 국가간 트래픽 공유에 대한 비용처리 문제 때문에 그렇습니다 😥
국내 사용자가 해외로 접속할 경우
"대역폭을 제한"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해외망 QoS" 라고 랍니다)
1) 예를 들어, 한국 SK 인터넷 사용자가
-> 미국 AT&T망에 연결된 웹사이트에 접속한다면
-> SK는 나중에 AT&T에게 망 이용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2) 반대로, 미국 버라이즌 사용자가
-> 한국 KT망에 연결된 네이버에 접속한다면?
-> 버라이즌은 KT에게 망 이용료를 정산해야 되구요!
국가간 정책이 이러다 보니.. 해외망 이용료를 아끼기 위해
대역폭을 줄여서 서비스하는 꼼수(?)을 부리는 겁니다.
이게 우리나라 대기업의 현실입니다..ㅎㅎ
KT도 똑같이 해외 ISP 사에 요금을 지불해야 되는데
왜 KT는 속도가 빠른가? 하면은,
국내로 들어오는 해저육양케이블의 소유권을 (공동 소유권) 많이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요금 면에서 부담이 적으니 해외망 QoS를 심하게 걸지 않습니다 😉
이 외에 나머지 통신사들은 품질이 좋지 않습니다 🥹
해외망 소유권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해외로 나가는 대역폭에 대해, 해외 ISP 통신사에 높은 망 이용대가를 지불해야 되거든요..ㅎㅎ
따라서 이를 절약(;)하기 위해서 해외 대역폭을 많이 제한하고 있어요..
참고로 LG는 넷플릭스 품질은 좋습니다 ㅎㅎ
넷플릭스와 직접 계약하여 국내에 캐시서버를 만들었기 때문이에요~
다른 해외 서비스들은 품질이 아쉽고요
당연히 게임 접속이나 홈페이지 접속은 KT에 비해서 아쉽겠지요?
문제는 SK 입니다...
캐시서버도 없고, 해외망도 좋지 않으니
KT나 LG에 비해서 품질이 아쉬운 편입니다 ㅜㅜ
게다가 넷플릭스와 망 이용대가 이슈까지~! ㄷㄷㄷ
(요즘 화해를 한 것 같기는 합니다만...)
그나마 좋은 소식(?)은...
SK가 'SJC2(Southeast-Asia Japan Cable 2)' 해저케이블 개발에 참여하고 있고,
2025년 완공과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답니다!
다만.. 계속 일정이 미뤄지고 있기도 하고
완공이 된다고 해서 얼마나 빨라질지는.. 아직까지 예측이 불가능합니다 ^^; ㅎㅎ
물론 SK나 LG라고 무작정 해외망이 안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해외 서버와 <-> 국내 유저 간에 라우팅 경로는 천차만별이므로
같은 SK 가입자 내에서도 품질이 갈리는 편이에요~
즉... 운(;;) 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