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관련 문의는 아니라,
네트워크 세팅하는데 궁금한 것들이 인터넷 전문가분들이 많으신 것 같아서 여쭤보려고 합니다.
다름아니라 일반 가정집에 게임을 노트북 20대 정도 돌릴려 합니다.
작업장입니다.
장소는 원룸이고, 인터넷 업체는 지방 케이블 방송에서 인터넷 뽑아주는거 이용하고 있더라고요.
다른 통신사 인터넷으로 바꿀 수는 있다고 합니다.
게임에서 하나의 공인 ip? 라고 해야하나 외부 ip? 하나에 5계정 이상 접속하면 제재이구요.
1. 모뎀 선 -> 공유기 WAN -> 공유기 1~4중 아무 포트에서 허브 아무데나 -> 허브 모든 포트에 인터넷 연결 가능
하다고 해서 노트북 20개를 회선 하나로 분배시킬려 합니다.
근데 스위칭 허브를 살려니깐 L2 L3 스위치 타입이 뭐 나뉘어 있더라고요.
L2 스위치 타입의 스위칭 허브를 사용해도 유료 고정 IP 서비스 이용하면 IP 바꾸는게 가능한가요?
L2는 지원가능주소가 MAC이고 L3는 지원가능주소가 IP라고 되있어서 (다나와 설명에).. 헷갈리네요
노트북 5개정도는 그냥 기존 회선의 아이피 이용하고, 나머지 15개는 고정 IP 서비스 이용해서 진행하려하는데
참 헷갈리게 되있네요/.
2. 개인적으로 스위칭 허브 단말을 구입해서 연결 후, PC마다 하나씩 IP를 프로그램을 통해 바꾸려고 하는데,
혹시 저 게임 방침(회선 하나당 계정 5개 제한)을 고려한 채로,
노트북 20개를 게임 접속시키게 할만한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아이피 구매말곤 답이 없나요? 이게 유료 아이피여도 제재 가능성 있다고 하길래요
3. 특정 업체의 허브 단말로 인터넷 기존 가정집 회선 하나를 여러 공인 IP로 나누는게 있나요???
뭔가 있다고 들은 것 같아서.. 이런 서비스를 뭐라고 하나요?
4. 원룸 건물 자체에 인터넷선 하나 오는거에서 방으로 분배되는데요.. (관리비에 인터넷비 포함)
기존 케이블 방송 인터넷에서 KT나 SK로 바꾸는 구조가 가능한건가요?
집주인이 돈들긴 하는데 가능하다고는 하는데.. 어떤 구조로 되어있을까요?; 집주인도 인터넷 잘 모르겠다네요;
5. 일반 인터넷 업체 가정용 회선(100m) 하나로 허브 통해서 13대로 나누면
게임 플레이 가능할 정도의 인터넷 가능한가요??
제가 이 업체 남 등쳐먹지는 않은 업체인 것 같아 친구들 한테도 소개하고 그랬는데..
너무 노여워 마시고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적당히 손털고 나중에 결혼하면 싸그리 백메가통해 가입하겠습니다
도와주십쇼.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