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2905 페이지
  • 쥰****님의 글

문의 드립니다.

회원님의 사진
  • 쥰****
댓글 1
  • 조회 2,888

안녕하세요

KT 기기중에 KT홈허브라는 제품이 있는데요

이 제품이 시중에서 다른 브랜드로 출시되고 있나요? 티피링크나 일반 구매자가 구입가능 한걸루요.

 

제가 지금 찾고 있는 기기는 KT 티비와 인터넷을 연결해야 할때 허브와 공유기를 각각 써야하는데

그 공유기와 허브기능이 하나로 합쳐져 있는 제품을 찾고 있거든요. 마치 KT 홈허브 기기처럼요.

 

다시 말하면 KT 티비는 공인IP가 필요하니까 허브가 필요하고 컴퓨터등을 이용하려면 IP를 더 받아야하니까

공유기처럼 IP를 할당해 줄 수 있는 제품의 2가지 기능이 한개로 되어있는 제품을 말합니다.

 

KT홈허브라는 제품이 있으니까 시중에 나와 있는것도 있을것 같은데 검색을 못하겠네요

아신다면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전체 댓글 1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수빈
    쥰세이님 안녕하세요~?
    백메가의 이수빈이라고 합니다! 꾸벅~ (--)(__)

    이 모든 일의 원흉(?)은
    KT의 IPTV 셋탑박스가 공인IP를 취득해야
    정상적으로 구동되기 때문이지요~?

    이는 아주 오래전부터 비난과 원성이 자자한 부분이지요 ㅠ
    그런데 쥰세이님께서 말씀해주신 "홈허브"가 매우 중의적입니다~!

    1. 오늘날에는 사라진, KT 임대형 공유기(AP)의 통상명칭이기도 하며

    2. "허브"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기에
    "스위치 허브" 기능이 내포되어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3. 만약 위의 1~2번을 쓱싹쓱싹 버무리면?
    공유기도 되고 + 스위칭 허브 기능도 되는 만능형 제품(?)이 연상되는 법이죠!

    안타깝게도 그러한 제품은 없습니다 ㅠ


    자~! 일단 KT에서 인터넷 상품을 청약하게 되면,
    자사의 스위치 허브가 번들형태로 무상 임대되기 마련입니다~!
    하여 아래와 같은 네트워크 연결이 가장 보편적이죠.

    인입선 ---> KT 스위치 허브(임대) ---> 공유기(AP) 및 IPTV

    당연히 KT의 허브(스위치 허브)는 비매품이고요~
    이를 일반구매할 수 있다 해도 공유기(AP)의 역할을 병행하진 못합니다^~^

    결국 억세스 포인트 역할을 수행할 공유기와
    동시 사용이 불가피하지 않겠어요~?



    음.. 아마 쥰세이님께서 생각하시는 바는
    대기 및 소비전력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허브를 걷어내고(?) 싶으신게죠~?

    인입선 ---> 공유기(AP) ---> 컴퓨터 및 IPTV

    위와 같이 말이죠^~^
    이는 논리상 가능하긴 하나 2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KT 스위치 허브는 필수적 임대장비이고
    (물론, 설치여건과 청약형태에 따라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요)
    이를 최상위에 연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해요.

    물론 스위치 허브를 배제하고 다이렉트로
    공유기와 인입선을 연결한다 해도 문제가 생기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에 따른 트러블 슈팅을 KT에서 보증하지 않는 것이 문제죠 ㅠ
    (즉, 자급자족(?)으로 문제해결을 해야만 합니다)

    제가 집에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중이에요.
    KT기사님이 "이렇게 해도 작동됩니까..?"라고 되물으시더군요^~^;;


    2. 공유기(AP)가 KT의 IPTV를 감당할 수 있어야 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구매하실 공유기가 IGMP 스누핑 및 IGMP 프록시 기능을 지원한다면
    KT의 IPTV 이용에도 문제가 없다는 것입니다^~^

    일례로, 한국형 + 대중성의 끝판왕(?)인 IPTIME 공유기들은
    IPTV 설정탭에 "KT IPTV 설정" 기능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지요.


    하지만 저는 KT에서 제공하는 허브를 걷어내지(?) 마시기를
    강력하게 당부드리고 싶습니다.

    애초부터 별개의 공인IP를 취득하는 것이 유리할 뿐더러
    KT에서도 이를 염두하여 1가정에 복수의 공인IP를 개방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유기(AP)의 하위에 IPTV가 위치한 경우,
    공유기의 IGMP(멀티캐스트 스트림) 처리능력의 높고 낮음에 따라
    전체 네트워크의 병목현상이 생길 여지 또한 있지요^~^

    제가 드린 설명이 잘 이해되십니까~?
    최대한 쉽게 설명드리려고 했는데도 긴 글이 되었습니다^~^;;

    그밖에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사소한 것이라도
    기탄없이 질문 남겨주세요!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꾸벅! (--)(__)
  • 문의게시판
  • 2905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