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이곳 백메가에서 눈팅만하다가 저희 집 인터넷+IPTV 상품 약정이 이번달을 끝으로 만료가되어 앞으로 경로를 어떻게 설정해야하나 싶어서 고민끝에 글을 남기게 됐는데요.
어떻게 방향을 잡아야할지 모르겠네요 ㅎㅎ
일단 저희는 SK 핸드폰 3회선 결합으로 2013년부터 '온가족무료' 혜택받고 있습니다. 백메가에서도 당연히 알고계신것처럼 온가족무료는 '인터넷무료' 라는 파격적인(?) 혜택으로 지금은 역사속으로 살아진 옛 상품이기도 해요.
하지만 어느 통신사든지 마찬가지겠지만 장기 기존고객에겐 무심하고 신규회원들에게만 상품셔틀을 제공하는 SK통신사가 얄미워서 약정이 끝나는 시점 이후에 타사로 이동을 고민중에 있어요.
사실 SK가 얄밉다는건 핑계일뿐, 결정적인 이유로는 B tv 컨텐츠도 부족하고 제가 원하고 선호하는 채널, VOD 컨텐츠가 만족스럽지 않다보니 아무래도 IPTV 선호도가 높은 KT 혹은 LG에 눈길이가기 때문인데요. (KT의 최다 채널, LG의 다양한 컨텐츠 등)
하지만 쉽게 결정을 못내리는 이유가 바로 '요금' 입니다.
현재 인터넷 1회선(무료) + TV 2회선(UHD 프라임 요금제 / 표준형 요금제) + 지상파 월정액까지 해서 한달에 3만원정도 내고 있어요. (이정도면 저렴한거 맞죠?^^)
그런데 타사로 옮기면 인터넷 무료 혜택과 각종 결합할인이 사라지다보니 지금보다 엄청난 요금상승이 예상됩니다.ㅜㅜ
+ 그리고 SK를 해지하고 추후에 재가입했을경우 다시는 온가족무료 혜택을 받을수 없기에..ㅠㅠ
여기서 백메가에게 질문!!
지금처럼 할인혜택 받으면서 SK유지하는게 '이득'이다! VS 타사로 이동시 SK만큼은 아니지만 요금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알고있다!
이 두가지를 대립해서 어떤방법을 추천하고 싶은지 백메가 전문가님들의 의견을 듣고싶어요ㅠㅠ "당연히 전자로 해야하는게 현명한거 아냐?" 라고 생각하실수도 있겠지만 다방면으로 의견을 듣고싶어 이렇게 글 남겨드립니다!
(이 글의 상담을 진행해줄 담당자님이 저와 같은 입장이라면 어떤선택을 하실지!)
그리고 아울러! 이번에 SK에서 신형 셋탑박스 상품이 나왔다고 알고있는데 이 모델이 기존셋탑(UHD)과 비교했을때 장단점 혹은 어떤 기능과 스펙이 추가됐는지 궁금해요.
제가 가장 중요시하게 생각하는게 리모컨 반응속도, 채널변경 속도, VOD 메뉴 선택 및 UI 메뉴 이동 속도 등.. 이런부분을 중점적으로 체크하거든요.
그리고 스마트2 셋탑도 UHD채널과 HDR기능이 탑재되어있는지 여부도 궁금하네요.
글이 너무 두서없고 길어졌는데요ㅠㅠ
백메가 전문가님들의 소중한 답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