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2358 페이지
  • 길동이님의 글

KT 기가 모뎀이 유선AP 역할을 할 수 있나요?

회원님의 사진
  • 길동이
댓글 6
  • 조회 4,828

지금 집에 무선AP( https://store.ui.com/products/unifi-ac-lite ) 2대를 앱을 통해 같은 SSID로 설정하여 컴퓨터방이랑 거실에 연결하려고 하는데, 단자함에 넣을 유선AP를 살 돈이 없어서 KT모뎀을 유선AP로 쓸까 고민중입니다.

 

kt 모뎀이 유선AP 역할을 할 수 있나요? 그리고 다운로드와 업로드를 동시에 할때, 다운로드와 업로드 속도 둘다 1기가의 속도를 낼 수 있을까요?  

 

또한 시중에 파는 유선AP(https://store.ui.com/products/unifi-security-gateway)랑 KT모뎀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전체 댓글 6
  • 회원님의 사진 길동이
    아 그리고 ONT 회선을 유지한 상태에서 KT 모뎀을 사용 안하고 타사 유선AP를 쓸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길동이ㅎㅎㅎ 다시 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곽은정이에요~! (이제 제가 익숙하시지요!? +_+)

    저번에 남겨주신 길동이님 글에
    제가 답변드린 내용의 일부 대사(?)를 인용해봅니다.

    "길동이님께서 Unifi 제품으로 이 모든 구성을 일원화하신 것은
    중앙집중적 컨트롤을 구축하기 위함으로 해석되고
    이에 대해 충분한 사전준비(및 시뮬레이션)이 선행되었으리라 믿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남겨주신 질문은
    제 믿음(?)이 깨어지는 것과 진배없습니다^^;;;
    일단 말씀해주신 것들에 대해 정리해볼까요~?


    1. KT의 모뎀은 여러번 말씀드린 것처럼
    "스위치 허브"의 기능을 가지고 있을 따름이고요..
    "억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수행하진 못합니다ㅠ

    아마 길동이님께서 네트워크 최상단에
    억세스 포인트를 생성하려는 연유는
    모든 단말기를 하나의 내부 네트워크로 묶기 위함이겠지요~?

    KT 모뎀은 이 역할을 수행할 수 없으니
    내부 네트워크로 모든 단말기를 그루핑하기 위해서는
    최상위에 별도의 AP(보통은 유+무선 공유기를 사용합니다)가 필연적이에요.

    하지만 유무선 공유기가 통신단자함 내에 위치하면
    간섭으로 인해 무선 도달거리가 현저히 저하되어 문제되지요ㅠㅠ

    하여 이런 경우에는
    통신단자함 내 인입선 -> 커플러 -> 거실 첫번째 RJ45 단자  -> 유무선 공유기 ->
    거실 두번째 RJ45 단자 -> 통신단자함 -> 단자함 내 기가비트 스위치 -> 각 방으로 연결..!
    위와 같은 식으로 일명 "돌려치기" 구성을 하게 됩니다ㅎㅎ


    2. KT의 회선이 길동이님 댁까지 "대칭형" 기반의 회선으로 제공된다는 전제라면
    당연히 양방향(Full-duplex) 통신이 되어요~!
    즉! 다운로드와 업로드는 각각 최대 1Gbps의 대역폭을 가지게 되지요 +_+

    사실.. KT에는 "비대칭형"이라는 개념이 없긴 하나 특정 지역에 한해서는
    ① 2Pair의 UTP케이블을 억지로(?) 증폭시키는
    기가와이어 방식을 제공하기도 하고요..!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지요^^;)
    ② 간혹가다 xDSL 기반의 회선을 제공하기도 해요 (도서산간에 한합니다ㅎㅎ)

    이는 원천적으로 고정된 성질이기에 거주하고 계신 곳의 상황이 관건이지만
    너무 걱정하실 필요가 없어요 +_+
    일전에 남겨주신 글의 통신단자함 사진을 미루어보아
    적어도 정보통신 2등급 이상의 아파트에 거주 중이시고
    이는 대칭형 기반의 선로구축이 선행되었음을 의미합니다~!


    3. 저는 길동이님의 장비선택이
    "유니크한 목적과 가치"를 위함이라 해석했지만...
    마지막 질문(unifi의 유선AP와 KT모뎀의 차이)으로 미루건데 제 추측이 틀린 거 같습니다ㅠ

    자~! 여기서
    ① 유니크한 목적이라 함은: 특수한 통신(패킷), 특수한 관리(보안 및 연결성) 등을 의미하고
    ② 가치라 함은: 유지보수, 내구성, 브랜드 만족도 등을 의미합니다.
    (일례로 애플을 사는 이유는 대부분 브랜드때문이지요ㅎㅎ)

    추론하건데 1번의 목적은 전무한 듯 하고요..!
    2번을 위해 비즈니스용 장비를 구매하시는 것은
    경제성이 매우 떨어집니다;;

    기본적으로 가정용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유선전용 AP를 사용하는 경우는 전무해요~!
    또한, AP(억세스포인트)와 허브는 전혀 다른 성질의 장비여서
    KT모뎀과 Unifi의 유선AP는 동일 선상에서 비교대상이 되지 못합니다.

    정말 극단적(?)으로 비교하자면
    AP는 전체 네트워크를 관제, 통제하는 수문장의 역할이고요..
    허브는 단순히 네트워크가 지나가는 길을 여러갈래로 쪼개주는 장비에 불과해요ㅎㅎ
    하여 AP 하위에 -> 허브가 위치해야 -> AP가 주도권을 가지고 -> 전체 네트워크를 일원화 시켜주는 것이지요.


    사실을 고백하자면 혼란스럽습니다ㅠ
    행여나 길동이님께서 정보의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단편적인 정보들을 조합하여
    네트워크 청사진을 구성하신 것이라면 이는 매우 잘못된 계획이어요 ㄷㄷ

    또한 길동이님의 의도와 목적을 헤아려
    문제를 해결해드리고 싶은 마음이 가득하지만..
    남겨주신 여러 글들이 단편적 질문에 국한되고 있어서
    의도를 제 마음대로 추정하기에 급급한 것이 사실입니다ㅠ
    쪼~끔은 순간적으로나마 섭섭한 마음까지 들었습니다^^;

    저도 애정을 바탕으로 많은 정성을 들여 화답하고 있는데
    일방적인 소통이 이어지는 듯 해요.
    그래서 이 고리를 어떻게 풀어나가면 좋을까 고민스럽습니다ㅠㅠ


    자~! 요약해드리면 표면적으로는
    1) 가정용 AP(개인적으로는.. ASUS제품을 좋아합니다)를 사용하는 것이 정석이고요~
    2) 무선 도달거리를 극대화하시려면 1번 공유기는 Mesh 지원모델 2대가 필요하고
    3) 엔트리급 스위치 허브 2~3대 정도 구매하시면 충분할 듯 하나...
    이 많은 의사소통에도 아직 제가 길동이님의 의중을 파악치 못해 불안할 따름입니다^^;

    P.S KT의 ONT 모뎀은 광케이블을 UTP신호로
    변경하는 기능과 허브기능이 포함된 제품이에요ㅎㅎ
    하여 대체 불가능합니다..ㅠ
  • 회원님의 사진 길동이
    @곽은정혹시 KT모뎀 모델번호/모델명이 무엇인가요?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길동이KT 모뎀 모델명은 "CG404CH_W" 요것인데요~!
    혹~~시라도 기사님께서 다른 장비를 설치해주실 수도 있으니
    단순 참고만 해주세요ㅎㅎ

    새로운 장비가 나오거나 다른 장비가 있어도
    통신사에서 "요러한 장비가 있습니다~" 하고 알려주지 않는지라
    고객님들 제보가 없으면 정보 알기가 어렵기 때문이죵ㅠㅠ
  • 회원님의 사진 길동이
    @곽은정아 그리고 이러한 무선AP( https://store.ui.com/products/unifi-ac-lite )를 1개 또는 2개를 쓰기 위해서는 모뎀이랑 유선/유무선공유기가 이미 연결된 네트워크가 갖추어져야 하는 건가요?
    예를 들자면 '모뎀 -> 무선AP' 이렇게는 안되고 '모뎀-> 유선/유무선공유기 -> 무선AP' 이렇게 해야 되는 건가요?
    참고로 위의 무선AP는 랜선 신호를 받아 무선 신호를 퍼트리는 장비이고, 유무선AP와 달리 스위치가 내장되어 있지 않습니다.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곽은정
    @길동이일반적인 AP는 유/무선 지원여부를 차치하고
    자체 컨트롤러(GUI 혹은 CUI)가 제공되기 마련이에요~!

    말씀주신 제품은 사용해 본 경험이 없어서 답변드리기 어렵지만
    "모뎀 -> PoE 스위치-> 무선AP"의 연결이 불가능할 이유는 딱히 없어보입니다ㅎㅎ
    (당연히 PoE 스위치가 빠지면 전원수여가 불가능하니 요것도 꼭 필요하겠지유!? +_+)

    하지만 우선 연결성 문제보다
    1) DHCP 협상 문제
    2) 복수의 무선AP 간에 단순 SSID 매칭이 옳은지 혹은 Mesh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옳은지
    3) 같은 내부 네트워크에 귀속할지 혹은 별도의 네트워크가 구성되어도 관계없는지
    위 3가지 사항이 관건일 듯 해요 +_+

    말씀주신 제품이 PoE방식 무선전용 AP라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ㅎㅎ
    이같은 제품은 통상 매립형으로 설비되기 마련이고
    중앙집중형 관리 체계를 꿈꾸시는 분들에게 좋겠지용~?
    하여 최초의 길동이님 계획상에는 네트워크 최상위에
    Unifi 유선AP 및 Controller 장비를 염두하신 게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연결성에 대한 이슈는 확답드리기가 어려워서요ㅠㅠ
    요것은 Unifi 제조사를 통해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문의게시판
  • 2358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