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산 속(?)에 살고있는 한 사람입니다 집에는 KT 집전화가 있고 TV는 스카이라이프 접시 TV를 사용 중인데 8년 전에는 KT 인터넷도 있었으나 업/다운 속도가 10메가를 못벗어나서 결국 해지하였는데 역시 인터넷은 무조건 필요한 것 같아 인터넷을 다시 신청하려고 100번에 전화해서 제 거주지 쪽에 기술팀(?) 분이 전화를 주시더니 시설이 없어서 설치를 못한다 그래서 한전 전봇대가 집 바로 앞에 있는데 그건 사용하지 못하냐? 라고 질문하니 한전 소유는 사용을 못한다 그리고 그나마 되는건 (아마도) ADSL 밖에 안된다 라길래 어쩔 수 없이 신청 취소를 하였는데 최근에 구글링을 해보니깐 U+는 한전 소유의 전봇대를 임대 할 수가 있다는 글들이 있더라구요 마침 스마트폰 통신사도 u+이기도 해서 이 정보가 맞는지 확인 차 백메가에 질문 글 올립니다
1)유플러스가 한전 소유의 전봇대를 임대하여서 산속에도 인터넷을 설치 해줄 수 있나요?
2)만약 된다면 100메가 정도의 인터넷만 설치가 가능한건가요 아니면 기가 인터넷도 설치가 가능한가요?
3)기가 인터넷 설치가 가능하다면 대칭형인지 비대칭형인지 조회해주실 수 있나요? 주소는 경남 남해군 **대로 ****-***입니다.
21세기 IT 강국 한국에서 유선인터넷을 사용못하는건 너무 슬픈 사실이네요
제발.. 나도 인터넷 좀 쓰자....
백메가 곽은정입니다ㅎㅎ
아이쿠야.. 요기 주소지라면 SK와 LG는 아예 인터넷 망 자체가 포설되어 있지 않아
지금으로선 KT 가입만이 해법입니다^^;
전화선 기반망도 엄밀히 말해 대칭형 방식이긴 하나
품질이 떨어지는 다소 구형 방식이라 안정성이 떨어지지요ㅠ
아마 LG유플러스의 전신이 파워콤이고, 파워콤의 전신은 한국전력이었기에
LG유플러스에서 전봇대를 임대할 수 있다는 가십(!?)을 들으신 듯 한데요ㅎㅎ
한국전력공사와 통신사업은 완전 분리되었기에
마찬가지로 한전 전봇대를 마음대로 임대하지 못 합니다..ㅠ
하여 파편화된 주거지역 (도서산간, 읍/면/리)의 경우에는
통신사가 인터넷 설치를 포기하기도 해요.
국선전화망과 달리 초고속인터넷은 보편적 통신역무에 대한 책임이 없기 때문이죠;;
그래도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는 것이
규제당국에서 초고속인터넷 또한 보편적 통신역무에 포함시키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 하고 있습니다~!
초고속인터넷에 대한 보편적 통신역무 사업자 지정이 얼마 남지 않았으나
KT의 반대 및 1계위 통신사(SK, LG)의 떠넘기기로 인해
어찌될지는 아직 제대로 마무리 되지 않았는데요^^;;
내년 1월부터 보편적 통신역무에 초고속인터넷이 포함되는 것이 법제화되면
JKJKAJ님 댁에도 광케이블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질 수도 있으니
조금 더 기다리는 것도 방법이에요 +_+
부디 내년에 빵빵한(!?) 속도를 누리실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ㅠ
음... 좋은 방안이 있으면 더 소상하게 설명드릴텐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해 죄송해요^^;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편히 말씀해주시고요~!
믿고 문의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ㅎㅎ
말 그대로 모든 국민이 보편적으로 통신을 누릴수 있는 권리를 보증하는 것이니까요 +_+
다만, FTTx 기반이라는 보증은 없습니다.
사업성에 따라 다르겠지만 VDSL 기반으로 될 가능성도 있지요.
보편적 통신역무의 강제조건은 100Mbps 대역폭일 뿐
광케이블 망으로 제공은 아니기 때문이죵ㅠ
그나저나 제가 이전에 한 가지를 빼고 말씀드렸네요^^;;;
JKJKAJ님댁에서 요즘 방식의 FTTx 망으로 이용할 수 있는지가 궁금하신거죠~?
전산 상에서 JKJKAJ님댁 주소지는 조회되지만
어느 방식으로 망이 제공되는지 조회되지 않았습니다.
(요러한 경우가 간혹 있어요 ㄷㄷ)
즉, 이 경우에는 가입신청 후
기사님께서 내방하시어 주변 환경을 살펴보셔야만
어느 방식으로 설치받을 수 있을지 확실히 알 수 있어요ㅠ
어떠한 변수가 있을지 모르니 확답드리긴 어렵습니다;;
혹여나 괜찮으시다면 다음달에 어찌되었는지
살짝(?)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_+
저에게도, 다른 분에게도 아주 큰 정보가 될 거예요~♡
기가급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을거라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ㄷㄷ
스위칭 장비가 100/1000base를 지원하는 것도, 100base인 것도 있는데
만약 100base 장비가 설치되면 100메가급 인터넷만 사용할 수 있거든요ㅠ
하여 역시나 다음달에 뚜껑(?)이 열려야
어느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을지,
최대 가입 가능한 인터넷 요금제가 무엇일지 알 수 있어요;;
확실한 정보가 있다면 함께 설명드릴텐데
지금으로선 알 수 있는게 아무것도 없는지라..ㅠ
큰 도움이 되지 못해 죄송합니다^^;
당장 인터넷 설치가 어려워서 보편적 통신역무로 진행해야되는 경우에는
이미지에 첨부되어있는 방법으로만 신청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어요ㅠ 크흡;;;
즉, 백메가와 같은 영업점에서는 아예 가입 자체가 불가하여
위 방법으로 신청하고 어찌 진행될지 보셔야 합니다 ㄷㄷ
부디 JKJKAJ님 댁에 적어도 FTTx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네유..ㅠ
혹시 놓치고 있을까봐 시간내시어 좋은 정보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용자분 제보 덕분에 알게 되는 정보도 아주 많습니다 +_+bb)
설치환경에 따른 변수가 워낙 많으니
역시나 기사님께서 현장에 나가보셔야겠지만
근처에 있는 댁은 기가급 인터넷이 설치가능하더라도
JKJKAJ님 댁에는 불가할 수도 있어요..ㅠ
심지어 같은 건물이어도 호수에 따라
인터넷 설치가능 여부가 갈리는 경우도 있거든요 ㄷㄷ
그나저나... JKJKAJ님께서 함께 첨부해주신
이미지와 링크주소를 보고 확인해보았는데
사용자 부담금이 드는 것이 맞습니다ㅠ
마찬가지로 현장 변수가 있어서 확답드릴 수는 없으나
집까지의 거리가 200m이고 특별한 이슈가 없다면 50만원이 들겠네유ㅠㅠ
다만, KT에는 애초에 동축(HFC)방식의 인터넷이 없으니
동축케이블로 인입될 일은 없고요 +_+
1) 광케이블(혹은 특정 구간부터 UTP케이블)로 설치될지
2) VDSL 기반으로 설치될지는
기사님께서 내방확인해보셔야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역시나 어떤 변수가 있을지 예측하기가 어렵거든요;;
한 가지 덧붙여 말씀드리면
마약 종단 전봇대까지 광케이블이나 UTP케이블이 들어와있는 경우엔
갑자기 VDSL로 스왑되지는 않습니다.
스왑(변환) 장비를 설치해야 하는데 그게 더 비싸서
굳이 요렇게 설치할 일이 없답니다ㅎㅎ
당연히(?) 기가급으로도 설치받으실 수 있을텐데요ㅎㅎ
요것이 시행된지 얼마 안 되어 아쉽게도.. 저희도 정보가 많이 부족합니다ㅠ
새로운 이슈가 있을 땐 사용자분 제보로 알게 되는 것이 많은데
아직 제보받은 것이 없기 때문이지요;;
전혀 문제될 것은 없어보이지만 어떠한 변수가 있을지 알 수 없으니
역시나 기사님께 여쭈어주셔야 해요ㅠㅠ
저도 큰 도움이 되지 못해 죄송합니다^^;
LG유플러스의 프로세스를 예시로 말씀드리면
종단망을 설비하는 팀이 따로 있고,
댁내 인입을 관할하는 기사님이 따로 있긴 합니다ㅎㅎ
그리고 그게 논리에 맞기도 하고요 +_+
말씀주신 상황으로 미루어보아
KT기사님께서 추후 재방문을 확답하신 듯 하니
너무 우려치 말아주세용..! ^^
요렇게 연결할 수도 있겠군요..!
입사한지 10년 가까이된 선임분들도 첨 본다 하시더라구요^^;
덕분에 새로운 정보 하나 더 얻었습니다 +_+b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