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의게시판
  • 1720 페이지
  • uny****님의 글

동단위 지역 1Gbps 설치 문의.

회원님의 사진
  • uny****
댓글 1
  • 조회 1,695

 

안녕하세요, 최근 1기가 상품 설치를 알아보다가 이 사이트가 눈에 많이 띄여서 문의 드립니다.

 

제가 지금 KT 500mbps 상품을 사용하고 있는데, 기존 상품에서 그대로 1gbps 까지 올리려고 하니 불가지역이라고 대답을 들었습니다.

 

제가 지금 사는 곳 주소로 검색해보니 장비는 Ntopia까지 들어와있고, 아직 지하 단자함을 열어보지는 않았지만 아마 FTTB 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런 경우 보통 1gbps가 가능한 것으로 알고있는데, 고객센터에서 이 상품 가입을 거부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그리고, FTTB/FTTH 차이도 궁금합니다. 

 

특히 예전에 살던 브랜드 아파트(?) 에서는 보통 핑테스트를 하면 2~3 정도가 나왔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핑이 10이 뜨더군요. 그리고 날씨나 환경에 따라 핑 편차가 말도안되게 심해집니다.

 

어떤 날은 30까지 올라가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핑테스트에서 30까지 올라간다면, 실제로는 100ms 언저리에서 사용한다는 뜻인데... 우리나라가 미국같이 큰 나라도 아닌데 100ms 는 솔직히 받아들이기가 힘듭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나 상품을 추천 부탁 드립니다.

전체 댓글 1
  • 회원님의 사진 운영진 이상희
    안녕하세요 uny님 백메가 이상희라고 합니다~!
    구글링 하다 요기까지 방문하게 되셨나보네요
    이렇게 만나뵈어 진심으로 반갑습니다 ^ㅡ^ㅎㅎ

    흠.. 남겨주신 이야기를 쭉~ 읽어보니
    다른 건 차치하고 반응속도(Ping) 문제가 있어서 찾아주셨나봐요
    날씨나 환경에 따라 핑문제가 발현된다면 사용하시면서 많이 불편하셨겠습니다 ㅠㅠ

    그래서 인터넷 요금제를 1기가로 올리면
    이 문제가 해소되지 않을까 싶어 이에 관련된 글들을 찾아보게 되신 것 같은데..
    제 짐작이 맞나요~?!


    1. 만약 제 짐작이 맞다면
    아쉽지만 요금제를 올려서는 해소되지 않습니다 ㅠ

    100메가 - 500메가 - 1기가 - 2.5기가 - 5기가 - 10기가 등은
    "대역폭"을 뜻하는 것이고 반응속도와는 별개이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이 문제를 해소하고자 인터넷 요금제를 업글하시려는 거라면 해법이 아니고요! ㄷㄷ
    만약 고용량 파일을 자주 업/다운로드하는 헤비유저(?)분이셔서
    빠르게 수급받기 위해 더 큰 대역폭을 원하셨던 거라면
    고객센터에 1기가로 변경해달라 요청하시면 됩니다



    2. 헌데.. 말씀하신 걸 보니uny님 거주지까지는 500M까지만 설치가 되는 곳인가봐요...! ㅠ
    FTTB라 해서 무조건 1기가까지 들어가는 게 아니거든요(흑흑..)

    설치환경에 따라 100메가만 되는 경우도 존재하는데
    또 어떤 곳은 FTTB임에도 2.5기가까지 설치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참으로 극단적이지요? ^^;

    즉, 상담원분이 1기가 설치를 거부하셨다면
    요것은 안해주는 게 아니라, 못해주시는 상황이 아닐까 짐작됩니다.

    500메가에서 1기가로 올리면 통신사에게 수익이 되어주는 일이고,
    인터넷요금제를 업그레이드하면 상담원분에게도 분명 실적이 되는 일이라
    이를 마다하실 이유가 없을 테거든요

    물론 정확히 가능하냐, 불가능하냐는 기사님이 내방해보셔야지만 알 수 있는데
    전산에 이 거주지는 1기가 설치불가. 라는 이력이 남아서
    상담원분 선에서 안된다고 말씀해주셨을 가능성이 있어서요!

    정확히 어떤 연유때문에 거절하셨던 건지
    KT고객센터 전화하셔서 여쭤보시면 좋겠습니다~!



    3. 한편, FTTB와 FTTH의 차이는
    "광케이블이 어디까지 인입되는가"에 있습니다~!

    FTTB는 Fiber to the Building이라는 뜻으로
    보통 아파트 통신실까지만 광케이블이 들어가고
    L2스위치를 통해 각 호실로 UTP케이블이 인입되는 방식입니다.

    이를 부르는 명칭이 통신사마다 다른데
    KT는 엔토피아, SK는 이밸리 라고 부르기도 하죠 ㅎㅎ
    (찾아보신 엔토피아가, 그 엔토피아입니다..!)

    그리고 FTTH는 Fiber to the Home의 약자구요~
    짐작하시겠지만 광케이블이 댁내까지 포설되는 방식입니다.
    대칭형 종류중에서는 젤 안정적이고 + 예산도 많이 드는 방식이죠 ㅎㅎ
    때문에 세대수가 많은 아파트나 오피스텔은 대부분 FTTB로 들어갑니다 :)


    헌데 기술방식에 따라 지연율 차이가 발생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역학적으로 본다면 거쳐가는 루트, 장비, 연산 등의 처리과정이 많을 수록
    지연 및 손실률도 상대적으로 증가함이 당연하다 생각될 수 있는데
    광(光)통신속도를 무시하셔선(?) 아니됩니다 ㄷㄷ

    사용자가 체감할 정도의 지연시간(latency) 증가로 이어졌다면
    육양 해저케이블 타고 오는 해외망은 수많은 홉을 거쳐가며 시름시름(^^;) 앓았을 테거든요.
    그러니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전혀 염려하지 않으셔도 되어요

    만약 FTTB사용자분인데 핑문제가 나타난다면?
    이는 인입방식의 원인이 아니라 다른 환경요인이 작용했을 확률이 아주 높습니다
    (이를테면 하드웨어나, 구내선로, 응용프로그램, UTP케이블 등 말이죠)



    4. 자~ 그럼 핑문제의 원인을 발굴할 차례입니다.

    네트워크 품질문제 원인은 생각보다 다양하고,
    단수가 아닌 복수의 원인이 겹쳐서 문제발현될 때도 많은지라
    스무고개 하듯이 용의자를 추려내고 -> 범인을 찾아야 하는데요~
    그러려면 uny님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합니다+_+

    해서 몇가지 질문을 드려볼게요~!


    1) 먼저 네트워크 연결 모식도를 알려주시겠습니까?

    [예시답변]
    인입선 - 모뎀 - 공유기 - PC, IPTV

    혹은

    인입선 - 모뎀 - IPTV
              - 공유기 - PC

    혹은

    인입선 - 공유기 - PC, IPTV 등

    이렇게 연결모식도를 정확히 알려주셔야 합니다~!


    2) 핑테스트는 공유기 제끼고(?) 해보셨는지요?
    즉, 인입선 혹은 모뎀과 PC를 직결해서 테스트해보셨는지 궁금합니다.
    안해보셨다면 테스트해보고 알려주시와요!

    3) 사용하시는 공유기 모델명과 사용연식이 얼마나 되었는지 알려주시겠습니까?
    참고로 공유기는 안테나가 달린 장비입니다+_+

    4) 그리고 핑문제는 어떤 활동을 할 때 느끼시는지도 알려주십시요!
    웹서핑/게임/유튜브시청시/넷플릭스시청시/고용량 파일다운받으면 와이파이가 느려짐 등
    그리고 구체적으로 만약 게임이라면 게임명칭도 알려주세요ㅎㅎ

    5) PC는 유선으로 연결되있나요? 무선(와이파이)으로 연결되있나요?

    6) 핑테스트는 어떤 속도측정툴을 사용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벤치비/NIA/KT홈페이지 등)

    이렇게 여섯가지만 답변남겨주시면
    원인이 무얼지 함께 고민하고 해결될 수 있도록 도움드리겠습니다 +_+
    이리 만나뵌 것도 인연이니까요 ㅎㅎ
  • 문의게시판
  • 1720 페이지
1544-5823 1544-5823
평일 09:00 ~ 18:30
토요일 09:00 ~ 14:00
일요일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