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을 올렸던 질문자입니다.
HGWD-1G – iptime공유기 – 노트북1
- U+Net 공유기 - 노트북2
- 데스크탑
으로 연결되어있습니다.
설명해주신 대로 HGWD-1G에서 iptime MAC주소로 Super DMZ 설정을 해 iptime 공유기에 외부 ip를 부여했습니다. 이후 외부 네트워크(lte)로 외부ip:5555(iptime에서 설정한 외부 연결 포트)에 접속하면 iptime의 관리 페이지까지 나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기존에는 iptime 공유기의 내부 ip(192.168.xxx.xxx)로 DDNS 설정이 되어있었는데, HGWD-1G의 sdmz 설정 이후, DDNS 설정에 ip주소가 자동으로 외부 ip주소(182.xxx.xxx.xx)로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기존에 설정해놓았던 xxx.iptime.org의 경우, 외부 연결포트로 접속해도 접속이 되지 않아 왜 이런 것인지 여쭤보고싶습니다.
DDNS 설정은 공유기의 내부 ip가 달라지더라도 도메인을 통해 연결하기 쉽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알고 있는데, 그럼 외부ip:5555로 접속하는 것과, xxx.iptime.org:5555로 접속하는 것이 다름이 없는 것이 아닌가 하여 질문드립니다. 표기 방식의 차이만 있는 것 같은데 접속이 되지 않아 당황스럽습니다. ㅠㅠ
다른 방법을 찾아보자 하여 sdmz 설정을 해지한 후, HGWD-1G 5555번 포트를 iptime 공유기 5555번 포트와 포트포워딩했을 때, 182.xxx.xxx.xx의 5555번 포트는 열려있는 것을 확인했으나, lte로 182.xxx.xxx.xx:5555에 접속하니
400 Bad Request
Your client has issued a malformed or illegal request.
오류가 발생하며 접속이 되지 않았습니다. 쿠키 삭제를 하면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스마트폰에서 인터넷 어플의 쿠키를 삭제하고 다시 시도했을 때, iptime의 관리 페이지로 연결되었으나, 로그인 버튼에 엑스박스가 나와있었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에도 로그인 버튼을 누를 수 없었습니다. 오류라고 생각해 다시 새로고침을 했더니 기존과 같은 에러 메시지가 출력되었고, 쿠키 삭제를 해도 같은 에러만 나옵니다. 이부분은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알 수 있을까요?